1
일반적인 사항
복습하기
2
코스의 구역
3
볼 플레이하기
4
퍼팅그린
복습하기
5
방향이 바뀌거나 움직인 볼
6
집어 올리기와 드롭하기
7
플레이에 도움이 되거나 방해가 되는 볼
복습하기
8
페널티 없는 구제
9
페널티 구제
복습하기
10
시험에 관한 설명
Rules Academy Final Exam
복습하기
1/10
일반구역에 있는 수리지로부터 구제를 받는 경우, 다음 중 사실이 아닌 것은?
A
반드시 가장 가까운 완전한 구제지점으로부터 두 클럽 길이 이내에 볼을 드롭하여야 한다.
B
반드시 일반구역에 볼을 드롭하여야 한다.
C
원래의 볼이나 다른 볼을 드롭할 수 있다.
2/10
다음 중 2벌타를 받고 벙커에서 언플레이어블볼 구제를 받는 경우는?
A
벙커 안에서 측면 구제를 받는 경우
B
벙커 밖에서 후방선 구제를 받는 경우
C
벙커 밖에서 스트로크와 거리 구제를 받는 경우
3/10
스트로크와 거리 구제를 받는 경우, 다음 중 사실이 아닌 것은?
A
티잉구역에서 다시 플레이하는 경우, 반드시 티잉구역 안 어디에서든 플레이하여야 한다.
B
일반구역에서 다시 플레이하는 경우, 반드시 직전의 스트로크를 한 곳에 최대한 가깝게 볼을 드롭하여야 한다.
C
퍼팅그린에서 다시 플레이하는 경우, 직전의 스트로크를 한 곳에 볼을 플레이스하여야 한다.
4/10
다음 중 프로비저널볼 플레이가 허용되지 않는 경우는?
A
일반구역에서 볼이 분실되었을 수 있는 경우
B
볼이 아웃오브바운즈로 갔을 수 있는 경우
C
볼이 페널티구역으로 들어간 것을 알고 있는 경우
5/10
페어웨이에서 플레이한 볼이 빨간 페널티구역에 들어가 페널티 구제를 받을 때, 다음 중 두 클럽 길이 이내의 구제구역에 드롭할 수 있는 구제방법은?
A
스트로크와 거리 구제
B
후방선 구제
C
측면 구제
6/10
매치플레이에서 플레이어와 상대방이 올바른 규칙에 대한 확신없이 서로 합의하여 규칙 문제를 해결하였다. 플레이어가 매치를 이기고 나서야 규칙 적용을 잘못 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. 올바른 재정은?
A
그 매치의 결과는 유효하다.
B
잘못된 재정과 매치의 결과를 바로 잡아야 한다. 플레이어가 다시 코스로 돌아가 매치를 계속해야 할 수도 있다.
C
플레이어는 홀 패이다.
7/10
다음 중 사실인 것은?
A
벙커 안에 있는 일시적으로 고인물로부터는 페널티 없는 구제가 허용되지 않는다.
B
벙커 안에 있는 일시적으로 고인물로부터 구제를 받는 경우, 플레이어는 페널티 없이 벙커 밖에 볼을 드롭할 수 있다.
C
벙커 안에 있는 일시적으로 고인물로부터 구제를 받는 경우, 플레이어는 1벌타를 받고 벙커 밖에 볼을 드롭할 수 있다.
8/10
박힌 볼에 대한 구제를 받는 경우, 플레이어는 볼이 박힌 곳 바로 뒤의 지점에서 한 클럽 길이 이내에 볼을 드롭할 수 있다.
A
사실
B
거짓
9/10
다음 중 사실인 것은?
A
움직일 수 있는 장해물은 코스 안팎 어디에서나 제거할 수 있다.
B
움직일 수 있는 장해물은 코스 안에서만 제거할 수 있다.
C
움직일 수 있는 장해물은 퍼팅그린 안에서만 제거할 수 있다.
10/10
다음 중 움직일 수 있는 장해물이 아닌 것은?
A
비닐봉지
B
바나나 껍질
C
고무래
복습 종료하기